2009년에 개봉한 인도 영화 세 얼간이는 인도의 유명한 감독 라지쿠마르 히라니가 만든 작품으로 인도의 국민 배우 아미르 칸이 주연으로 맡았습니다. 영화는 액자식 구성으로 취하고 있으며 인도 영화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사랑을 많이 받은 작품입니다.
영화 세 얼간이의 줄거리
인도의 공학 명문대 ICE에 입학한 파르한과 라주 그리고 란초는 이곳에서 만나서 친구가 됩니다. 파르한은 사진작가가 꿈이지만, 태어나자마자 아버지가 정해준 꿈인 공학자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라주는 가난한 집안에서 자라면서 병든 아버지와 식구를 책임지기 위해 좋은 직장에 취직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란초는 독특하고 자유로운 영혼이면서 천재적인 인재이지만, 전통적인 교육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사고를 지닌 인물입니다. 란초는 수업하는 도중에 교수들과 교육 시스템으로 부딪혀 매번 쫓겨납니다. 전통적이고 엄격한 교육방식을 고수하는 총장 비루는 그의 자유로운 사고방식을 탐탁지 않게 여깁니다. 총장은 파르한과 라주를 란초와 떨어트리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쓰지만, 번번이 실패하게 됩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들은 총장 집에 가서 장난을 치는 와중에 라주가 발각됩니다. 총장실에 불려 간 라주는 아버지와 란초 중 선택하라며 압박을 하던 중 결국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됩니다. 다행히 그는 정신은 깨어있고 몸은 충격으로 마비가 됩니다. 친구들은 그를 위해서 노력했고, 라주는 다시 돌아오고 면접을 보게 됩니다. 그리고 파르한은 아버지께 진정한 자신의 꿈을 고백하고 허락을 받습니다. 이들은 진정한 꿈을 찾으러 가기 시작했고, 무사히 취업과 졸업 두 마리의 토끼를 잡게 됩니다. 졸업 이후 란초를 보지 못하게 됩니다.
영화 세 얼간이 속 삶의 진정한 의미
긍정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영화 세 얼간이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탐구하는 깊이 있는 메시지를 담아내고 있는 작품입니다. 영화를 통해서 관습적인 교육방식에 대한 비판, 자기 발견의 중요성을 알려줌과 동시에 진정한 우정을 다루기도 합니다. 영화는 관습적인 교육 시스템과 사회가 요구하는 일률적인 성공의 기준에 대해서 강하게 비판합니다. 성적, 순위, 경쟁 중심의 교육을 통해서는 학생들에게 진정한 배움의 의미를 깨닫지 못하게 하며, 이를 통해 얻게 된 성공은 때로 공허함을 남긴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란초라는 인물을 통해서 배움은 결과 중심이 아닌 과정 중심에서 느끼는 기쁨이 더 크다는 것을 알려주려고 합니다. 단순히 주입식 암기와 점수를 따기 위한 공부가 아닌 진정으로 좋아하는 일을 발견하고 깊이 탐구하는 것이 진정한 배움이라는 것을 강조합니다. 또, 영화를 통해서 자기 발견의 중요성도 알려줍니다. 자신이 진정으로 원하는 일, 즉 좋아하는 일이 무엇인지 생각하게 만듭니다. 즉, 개인의 성공은 스스로의 행복과 열정을 찾아가는 데에 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결국, 이 영화를 통해서 우리의 가지와 열정을 발견하는 것을 우리가 살아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이며, 누군가의 기준으로 평가가 아닌 스스로 자신만의 방식으로 찾아갈 때 가장 빛나고 아름답다는 것을 이야기하는 영화이기도 합니다.
영화 세 얼간이의 감상평
삶의 방향성을 유쾌하게 풀어낸 인도 영화 세 얼간이는 다양한 메시지로 많은 생각을 가지게 만드는 작품입니다. 단순한 코미디 영화가 아니라 우정과 힐링이 동반되기에 더 오랫동안 생각이 나는 영화였습니다. 영화는 단순하게 삶의 진정한 의미라는 주제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관습적인 교육 시스템의 비판, 친구들과의 우정, 그리고 진정한 꿈 등 다양한 메시지를 유쾌하게 풀어낸 작품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란초라는 인물이 단순히 관습을 타파만 하는 것이 아니라 그의 철학인 ‘알 이즈 웰’ 모든 것이 잘될 거야! 라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가지고 삶의 어려움을 이겨 낼 수 있도록 긍정적인 힘을 전달하기도 합니다. 이 영화를 처음 들었을 때 세 얼간이라는 제목을 듣고 뻔한 이야기에 억지 유머 코드가 들어간 영화인 줄 알았는데, 막상 영화를 시청하고 난 뒤에는 신선한 충격을 받았습니다. 비영어권 영화가 인기를 얻기는 쉽지 않은 상황에서도 이 영화는 인기를 끌었고, 심지어 한국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게 되어 2011년에 정식 개봉하기도 했습니다. 영화의 주인공인 란초의 긍정적인 메시지가 통한 것은 아닐까 싶습니다. 경쟁사회에서 심신이 많이 지쳤거나 주입식 교육에 지쳐 잠시 힐링이 필요한 분들이 영화 세 얼간이를 보면서 조금이나 웃으면서 마음에 안정을 얻으면 좋겠습니다. 영화 세 얼간이었습니다.